시사중국어학원
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영역 바로가기
대표강좌
이벤트

공지사항

시사중국어학원에서 알려드립니다.

공지·이벤트 > 공지사항
공지사항 뷰
전체 신HSK6급 독해 변화 분석

HSK 阅读 문제변화 분석

1. 어휘량의 감소

HSK의 고등시험의 단어 요구량도 ‘5,000단어 이상이었지만, 높은 급수 획득을 위해서는 대개 갑, , , 정급까지의 8,822개의 상용단어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. 즉 요구량이 제시한 숫자보다는 이상이라는 언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. 실제 문제도 그렇게 출제되었기 때문에 10, 11급을 목표로 한다면 3,569개의 정급 단어까지도 외어야 할 것을 염두에 두어야 했다. HSK에서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. 마찬가지로 요구량을 ‘5,000단어 이상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면서 요강에 그 ‘5,000 단어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. 단어들을 살펴보면 대개는 갑, , 병급 단어이지만, 정급 단어도 어느 정도 포함되어있다. 실제 시험도 대부분의 경우는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. 따라서 수험생 입장에서 본다면 어휘면에 있어서의 부담은 줄어든 셈이다. 특히 독해부분 第三部分第四部分에서 확실히 난이도가 내려갔다는 점을 확실히 체감할 수 있다. 다만 앞으로 6급 자체내의 점수분포에 따른 난이도 조정 및 각 급수 별 시험과의 난이도 조정 등이 필요해진다면 점차 이전과 마찬가지로 이상이라는 언급이 중요해질 것이다.

 

2. 시험구성 및 시간의 변화

시험구성과 시간을 구HSK와 비교해보도록 하자.

문제내용

HSK

HSK

영역

구분

문항

개수

할당

시간

영역

구분

문항

개수

할당

시간

틀린 부분 찾기

HSK에서는 한 문장 안에서,

HSK에서는 4 문장 중에서

综合

第一部分

10

10

阅读

第一部分

10

9

정확한 어휘 선택하기

综合

第二部分

10

10

阅读

第二部分

10

9

문맥에 맞게 문장 삽입하기

 

 

 

 

阅读

第三部分

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