시사중국어학원에서 알려드립니다.
공지·이벤트 > 공지사항
전체
신HSK6급 독해 변화 분석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新HSK 阅读 문제변화 분석 1. 어휘량의 감소 구HSK의 고등시험의 단어 요구량도 ‘5,000단어 이상’이었지만, 높은 급수 획득을 위해서는 대개 갑, 을, 병, 정급까지의 8,822개의 상용단어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. 즉 요구량이 제시한 숫자보다는 ‘이상’이라는 언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. 실제 문제도 그렇게 출제되었기 때문에 10급, 11급을 목표로 한다면 3,569개의 정급 단어까지도 외어야 할 것을 염두에 두어야 했다. 新HSK에서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. 마찬가지로 요구량을 ‘5,000단어 이상’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면서 요강에 그 ‘5,000 단어’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. 단어들을 살펴보면 대개는 갑, 을, 병급 단어이지만, 정급 단어도 어느 정도 포함되어있다. 실제 시험도 대부분의 경우는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다. 따라서 수험생 입장에서 본다면 어휘면에 있어서의 부담은 줄어든 셈이다. 특히 독해부분 第三部分과 第四部分에서 확실히 난이도가 내려갔다는 점을 확실히 체감할 수 있다. 다만 앞으로 6급 자체내의 점수분포에 따른 난이도 조정 및 각 급수 별 시험과의 난이도 조정 등이 필요해진다면 점차 이전과 마찬가지로 ‘이상’이라는 언급이 중요해질 것이다. 2. 시험구성 및 시간의 변화 시험구성과 시간을 구HSK와 비교해보도록 하자.
|